KODITS 절충교역지원
대한민국 방산수출의 동반자 KODITS
절충교역
방산물자 수출입 시 구매국에 기술 이전을 하거나 해당 국가의 무기,
장비 또는 부품 수입 등 일정한 반대급부를 제공할 것을 조건으로 하는 교역
종류
수출 절충교역
국내 방산기업이 방산물자를 수출시 구매국에 기술이전을 하거나, 해당국가의 무기 . 장비 또는 부품 수입등 반대급부를 제공할 것을 조건으로 하는 교역
- 수출 절충교역의 구분
구분 | 국방 및 방산분야 절충교역 | 민수분야 절충교역 |
---|---|---|
이행지원 주제 | 방위사업청 | KOTRA 방산물자교역지원센터(KODITS) |
지원내용 |
|
|
- 이행주체
당사자(수출 국내업체 및 구매국 정부)간 이행
- 정부 지원사항(방위사업청 검토하에 지원가능)
수입 절충교역
해외 방산업체로부터 일정규모(미화 1천만 달러) 이상의 무기체계를 구매하는 국외구매사업의 경우 계약 당사자(해외방산업체)로부터 부품제작 수출 및 기술이전 등의 반대급부를 제공받는 제도
- 대상사업
단위사업별 금액이 1천만 USD이상인 국외구매사업 중 무기체계별 통합사업관리팀(IPT)에서 사업추진 기본전략에 포함하여 결정
※ 절충교역 적용 제외
-유의사항
분야별(기술이전, 부품제작수출, 군수지원 등) 특성에 맞추어 세부내용 작성
*참여절차 확인
국외업체가 한국업체를 선정하고, 방위사업청에서 확인하며 국외구매 참여 이전부터 절충교역 이행을 고려하여 국내 관련기업을 먼저 파악하는 경우가 있음
-이행주체
종류 | 세부내용 | |
---|---|---|
군수분야 절충교역 | 대상사업(예정) 공고(방위사업청) -> 제안요청서 제출(각 군, 국방기술품질원, 국방과학연구소, 방위산업진흥회) -> 가치평가 후 선정(방위사업청) (k-offset.com 운영예정) | |
민수분야 절충교역 | 산업협력 분야 | 신청서 접수(KIAT, 전담지원기관) -> 추천품목 결정(실무위원회) -> 추천품목 DB등록 . 관리 (전담기관) -> 품목추천 * 전담기관 :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, 민군협력진흥원, 한국로봇산업협회, 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|
민수분야 | 참여희망 기업 신청 . 접수(중진공) -> 현장평가(지방청 수출지원센터) -> 추진분야 품목 검토/업체선정(실무위원회) -> 자료접수 및 사이트(offset.gobizkorea.com) 등록(중진공) |
관련사업
명칭 | 내용 | 지원주체 |
---|---|---|
방산GP사업 | 해외의 절충교역 의무보유 기업과 국내기업을 매칭하여 해외 유수 방산기업의 가치사슬로 편입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사업 | 방산물자교역지원센터 |
중소기업 맞춤형 컨설팅 제도 |
절충교역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에 절충교역 참여방법, 절차와 협상방안을 소개하는 중소기업 맞춤형 컨설팅제도와 수출상담주간 운영 | 방위사업청 |
문의처
수출 절충교역
방산GP사업
수입 절충교역 및 중소기업 맞춤형 컨설팅 제도